본문 시작
축산업 여건
- 국제여건 → DDA 급진전, FTA 체결가속 → 무한경쟁시대 도래
- ´04년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여러 국가와의 FTA체결 진행에 따라 시장경쟁 가속화 [´16.12월 현재 15건(52개국) 발효]
- 품목별 관세 점진적 감축시 수입축산물 가격하락으로 경쟁력 저하 예상
- 쇠고기(등심/500g) : (´16.12)국내산 39,170원 → 호주산 24,825(36.6%)
- 쇠고기(불고기/500g) : (´16.12)국내산 23,115원 → 호주산 12,015(48.0%)
국내여건 → 소비자욕구 변화에 따른 안전하고 위생적인 맞춤 축산물생산 필요
- 소비자의 안정성 요구 확산으로 품질고급화 및 안전시스템에 의한 차별화된 축산물 생산 필요
- 국민소득 향상과 식생활 변화에 따라 축산물 소비량 지속 증가
(1인당 육류 소비량 ´80년 11.3 → ´15년 46.1kg)
- 고품질 · 안전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가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투명성 요구
- 구제역, AI 등 악성가축질병 연중 발생으로 예방 및 확산방지 대책 추진이 과제로 대두
대응방안
- 특성화 · 차별화로 강원한우『전국 제 1명품』육성
- 강원한우 보증종모우 생산 및 광역브랜드 단일화
- 신성장·6차산업 전략 육성
- 말산업 육성, 축산체험목장, 축산농장 환경개선 등 지원 강화
- 경영안정 및 생산비 절감 집중추진으로 농가소득 향상
- 조사료 급여율 제고 및 정액공급, 사육시설개선, 장비공급
- 가축분뇨 자원화 및 지속 가능한 친환경 축산기반 구축
- 축산분뇨 자원화 시설 확충과 농장HACCP, 유기축산, 무항생제축산 등 인증확대
- 축산물 위생 · 안전성 관리강화 및 유통투명화로 소비자 신뢰제고
- 축산물 유통·판매 단계 HACCP도입 및 쇠고기이력제 조기정착
- 악성 가축전염병 상시방역체계 구축으로 축산농가 경제적 손실 예방 및 경쟁력 제고
- 구제역 등 재발 방지 및 소 결핵병 등 인수공통전염병 조기근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