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기후변화가 산림에 미치는 영향
- 산림식생대 이동
- 기온이 상승할 경우 식생대는 남쪽에서 북쪽, 저지대에서 고지대 이동
- 나무의 이동속도는 100년동안 4~200km이동 : 기후대는 1℃상승시 북쪽으로 150km이동
- 연평균 기온 2℃상승할 경우
- 남부 해안지역에 있는 동백나무가 중부 내륙지역까지 생육이 가능
- 4℃ 상승시 남한지역의 대부분이 난대 산림으로 전환
- 숲의 구조변화
- 수종별 생태반응 차이로 식생천이 진행방향 변화
- 수분이용의 효율이 높아져 산림생산성 및 탄소저장량 증가
- 토양과 유기물 분해속도가 빨라져 오히려 탄소배출량 증가
- 생물계절과 다양성 변화
- 기온, 강수량, 일조량의 변화는 식물의 잎이나 꽃이 피는 시기가 달라지며, 나비류와 같은 곤충류의 생활 패턴도 변화
- 먹이사슬, 서식지 변화로 생물의 종 다양성이 변화
- 산림재해 발생 증가
- 가뭄으로 인한 산불, 폭우로 인한 산사태, 새로운 아열대성 산림병해충의 발생빈도 증가
기후변화와 산림의 역할
- 탄소흡수원 인정 산림활동 정의
- 신규조림(afforestation) : 50년이상 산림이외의 용도로 이용해 온 토지에 식재, 파종, 인위적 천연갱신 촉진 등을 통해 직접적이고 인위적으로 산림을 조성하는 것
- 재조림(reforestaion) : 본래 산림이었다가 산림이외의 용도로 전환되어 이용해 온 토지에 인위적으로 다시 산림을 조성하는 것
- 산림전용(deforestation) : 직접적이고 인위적으로 산림이외의 용도로 전환하는 것
- 식생복구(revegetation) : 신규조림이나 재조림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지만 최소 0.05ha 면적 이상의 식생조성을 통해 그 입지에서의 탄소 축적량을 증가시키는 인위적인 활동
- 산림경영(forest management) : 산림의 생태적 · 경제적 · 사회적 기능을 충족시킬 목적으로 임지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 · 이용하기 위한 시업 시스템
- 탄소흡수원 산림활동 인정범위
- 산림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순흡수량 인정 : 자연생장을 제외한 인위적 산림경영에 따른 임목(탄소)축적 변화 → 생장촉진을 위한 숲가꾸기 활동(+), 감소요인 벌채 · 산불 · 병충해(-)
* 인위적 산림경영활동에 의한 탄소흡수량은 15%인정
- 신규조림(+) 및 산림의 타용도 전용(-)은 100%인정
- 산림의 역할
- 산림은 지구탄소순환의 중추적 역할과 커다란 탄소흡수원으로
- 산림 ha당 : 연간 탄소흡수 1.98톤 / 산소배출 4.96톤
- ha당 탄소흡수량 1.98톤은 자동차 1대가 연간 배출량과 동일
- ha당 산소배출량은 18명이 1년간 호흡할 수 있음
- 탄소흡수량을 늘려나가기 위한 주요 산림의 역할로는
- 유휴토지 등 조림을 해서 산림면적의 절대치를 확대
- 산에 있는 나무의 부피(축적)를 늘려 탄소축적량을 증가
- 목재를 많이 이용하여 탄소를 고정시키고 타 원자재와 비교 배출을 저감
- 화석연료 대신 나무연료를 사용해서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