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정보

본문 시작

강원도 종합계획(2012~2020)

강원도 종합계획(2012~2020) 요약본 다운로드 전문 다운로드

1. 계획명 : 강원도 종합계획(2012~2020)

2. 계획의 배경

「국토기본법」에 근거한 법정계획
정부의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기조 및 도 종합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기존 강원도 종합계획 수정계획(2008~2020)을 변경·재수립
2018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와 국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도 발전 전략
강원도 주도의 인적·물적 기반 확충 및 자치역량 강화로 지역발전을 견인할 장기발전전략

3. 계획성격

정부의 국토계획 실현을 위한 도 단위 실천계획
지역의 장기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도 단위 최상위 법정 종합계획
부문별 계획 및 하위계획에 대한 지침 계획

4. 계획 비전과 목표

계획의 비전 : ‘소득 2배 행복 2배, 세계 속의 생명건강 삶터 강원도’
계획의 목표
국가 내 비중 ‘4% 인구, 4% 경제’ 달성
강원도 공간의 입체적 발전
건강하고 쾌적한 삶터 기반 구축

비전, 목표 및 추진 전략의 개관

  • 비전
    '소득'2개 행복 2배, 세계 속의 생명건상 삶터 강원도
  • 목표
    4% 인구, 4% 경제
    입체적 공간발전
    건강하고 쾌적한 삶터기반
  • 추진전략
    의식과 시스템혁신 : 동계 올림픽의 혁신화
    공간혁신 Ⅰ : 고속 물류 · 교통망 구축
    공간혁신 Ⅱ : 네트워크형 공간 경쟁력 제고
    산업혁신 : 지속성장 산업기반 형성
    삶터혁신 Ⅰ : 생명 다양성 환경기반 확충
    삶터혁신 Ⅱ : 스마트 - 문화쉼터 조성
    삶터혁신 Ⅲ : 저출산 - 고령화 대응사회 형성
    삶터혁신 Ⅳ : 재난 재해에 강한 커뮤니티 형성

5. 전략부문별 추진계획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혁신기반화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그레이트 강원’ 범도민 운동 추진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3+15’ 개발전략 추진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교통기반 확충, 강원문화 르네상스 사업 추진
고속물류·교통망 구축
북극항로의 개척과 융·복합 물류 클러스터 구축
올림픽 개최 계기 양양국제공항 활성화를 통한 강원도 공항시대 개척
광역경제권 간 90분대 통행권 구축, 국토종단 내륙물류축 개발
네트워크형 공간경쟁력 제고
접경지역·탄광지역 개발사업의 체계적·지속적 추진
거점도시기능 강화
동해안발전종합계획 체계적 추진, 창조지역사업의 추진
지속성장 산업기반 형성
R&D·신성장 동력산업 육성
자연소비형 관광을 쾌적 관광산업으로 재창출
융·복합으로 농산촌 산업의 고도화,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 신산업화
생명다양성 환경기반 확충
녹색정주환경의 조성, 생물다양성 기반 지역성장 체제 구축
물 자원의 확보와 가치증진, 생활폐기물 관리와 리사이클링 문화 확산
스마트·문화삶터 조성
스마트한 도시생활공간의 형성
쾌적한 정주공간 형성, 전통이 어우러진 생활문화 향상
스마트·문화삶터를 형성하는 토지 이용·관리
저출산·고령화 대응사회 형성
생애단계에 맞춘 지속가능한 일자리 생태계 형성
여성의 경제활동기반 확충으로 저출산·고령화사회 활력과 삶의 질 제고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확보, 건강보건환경 구축
재난·재해에 강한 커뮤니티 형성
예·경보에서 복구까지 지역시스템 구축을 통한 재난관리체계 강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지역사회의 방재력 강화
도시형 재해로부터 안전한 ‘사람 중심의 안심공간 조성’
  • 정보 제공 부서 :
    정책기획관
  • 연락처 :
    033-249-2934
  • 최근 업데이트 :
    2023-01-04